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외국에도 이런식으로 대학 서열나누는 말이 있나요?
외국에도 이런식으로 대학 서열나누는 말이 있나요?
한국의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처럼 대학을 서열화하거나 그룹으로 묶는 표현은 해외에도 존재합니다.
다만 표현 방식이나 문화적 분위기, 활용 맥락은 조금 다릅니다.
Ivy League :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등 미국 동부 8개 명문 사립대 그룹입니다. 원래는 스포츠리그였지만 지금은 학문적 명문을 뜻합니다.
T20(Top 20) : 미국 전체 대학 중 상위 20개를 의미합니다. 입시 커뮤니티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HYPSM :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스탠퍼드, MIT 를 묶은 표현입니다. 서연고와 비슷한 맥락에서 쓰입니다.
->한국처럼 서열에 민감하진 않지만, 입시나 유학 커뮤니티 내에서는 분명한 서열감이 존재합니다.
Oxbridge : 옥스퍼드 + 캠브리지. 영국 최상위 명문대를 상징합니다.
Russell Group : 영국의 연구 중심 24개 명문대 그룹입니다.(런던정경대, 임페리얼칼리지, 유니버시티컬리지런던 등 포함)
Golden Triangle : 런던 - 옥스퍼드 - 캠브리지 에 위치한 명문대 세력권을 의미합니다
-> 영국은 전통과 학문 중심이라 서열을 직접 말하지 않지만, 입시나 고용 시장에서는 인식이 분명합니다.
C9 League : 베이징대, 칭화대 등 9개 최상위 대학 그룹입니다. 중국판 아이비리그로 불립니다.
985공정 : 정부가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해 선정한 39개 대학 그룹입니다.
211공정 : '21세기, 100개 대학' 을 목표로 선정된 핵심 대학 그룹입니다.
-> 한국의 서열 문화와 매우 유사하며, 입시와 취업에서 대학 그룹이 크게 작용합니다.
도쿄일공 : 도쿄대, 교토대, 도쿄공대 등 일본 최상위 국립대 그룹입니다.
니산코마치 : 일본 중위권 인기 사립대 8개를 묶은 말입니다.(입시 커뮤니티에서 사용)
-> 일본도 입시계에서는 비공식 서열 표현을 자주 쓰지만, 공식적으로 대학 차별 언급을 피하는 분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