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대학원 생활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집안 형편도 넉넉치 못한 집안이고 그리고 대학생활부터 학습에 대한
  집안 형편도 넉넉치 못한 집안이고 그리고 대학생활부터 학습에 대한 열망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서 대학원을 도전할까 싶어서 질문드려요. 국립대학교 위주로 부산대, 충남대, 충북대로 진학할려고 합니다. 전공은 중국어 어학방면이고 중국어 통번역은 충남대와 충북대에 신설되어 있는걸로 아는데 부산대학교는 단순히 중국어학만 대학원으로 개설되어있지만 통번역대학원은 없는걸로 압니다. 그러나 지명도로는 부산대학교도 지방거점국립대학 중에서 월등히 높은편이고 인지도가 상당히 있는 대학이라 마음속에 있는 대학입니다. 이렇게 대학원 생활에 대해서 네이버 지식님께 질문을 갈구 하는 것은... 제목처럼 대학원 생활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입니다. 쳇gpt로도 개인적인 질문을 해보았는데 추상적이고 현실적이지 못한것이 큰 이유입니다. 앞서 언급한 국립대학교로 진학하기에 원래 교내 성적도 낮은 편도 아닌편이고 그리고 말씀처럼 학문에 대한 열의와 도전적인 사람이라서 원래 배웠던 학문을 수양하고 싶은 취지에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두고 있습니다. 질문 드리겠습니다.      (1) 대학원 생활에 있어 일반 학부생활과 차이는 무엇이죠?   (2) 대학원 생활에 있어 중요한 기숙사 문제는 학부생 처럼 기숙사 신청을 가능하나요? 기숙사 신청을 하게 되면 기숙사 식당에서 끼니도 해결가능한가요? 숙식문제는 주로 어떻게 해결하나요?    (3) 꾀나 사교적이고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인데 대학원 생활하면서 학부생과 어울리고 또 눈 맞는 교우와 친목도 다질 수 있나요? (현실적이면 좋겟어요)   (4) 앞서 언급한 부산대학교, 충북대, 충남대는 국립대이고 등록금도 비교적 저렴하고 생활비도 지방이라서 싼 편인데 언급한 대학 진학에 있어 경쟁률이 있을까요? (대학원 진학은 중어중문이고 배우고 싶은 학문은 통번역입니다.)  (5) 통번역 업무인데 꼭 통번역 업무만이 아니더라도 부산대학교, 충북대, 충남대 중에서 앞으로 대학원 진학 졸업한후 어느 대학이 조금이나마 메리트가 있나요? (취업에 있어서라든지 미래지향적으로 보았을때,   (6) 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는 통번역 방향이 아닌 어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걸로 알고 충북대, 충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는 통번역 대학원이 있는걸로 압니다. 통번역 대학원 방향으로 진학시에 어느 대학이 메리트가 있죠? 그리고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교, 충남대,충북대 중어중문학 대학원은 주로 어느 학문을 중점적으로 하며 취업방향은 어디와 적합한지 알려주시겠습니까?  (7) 이외에도 대학원 생활은 일반 학부생활과 달리 수업방향은 무엇을 중점적으로 하며 생활과 루틴은 어떻게 짜여지는 알려주시겠나요? 그리고 3번 질문과 비슷한데 학문탐구도 주된 목적이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꾀나 사교적이고 사람 만나고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인데 대학원 생활하면서 꼭 학부생만이 아니라 비슷한 대학원생들과도 친목도 형성할 수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학부생이었으면 하는데... 재차 질문드립니다.
1. 학부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본인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시간이 빡빡합니다.
대학원 수업 자체는 많지 않지만, 나머지 시간들은 본인 스스로 공부해야 하고 어떤 분야를 연구하고 싶은지 논문은 어떤 방향으로 연구과제를 잡아서 쓸 것인지 준비해야 합니다.
물론, 교수님이 지도해주시기도 하지만 본인이 큰 틀은 잡아야 합니다.
2. 대학마다 달라요. 대학원생을 위한 기숙사를 제공하는 대학도 있지만 대부분은 기혼자 대학원생을 위한 기숙사가 제공되는 편이고, 나머지 대학원생은 기숙사 입사하기도 어려울 수 있고 자취를 해야 하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식대는 별도로 기숙사식당에서 청구하는 경우도 있고, 학생식당에서 식권을 구매해서 매번 사먹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교마다 달라요.
3. 대학원생이 학부생이랑 어울릴 시간이 있을까요??? 자기 공부도 바쁜데...
학부생과 자주 만나면 자기 공부할 시간만 뺐깁니다. 괜히 밥 사달라 커피 사달라, 교수님이 시험 소스 같은거 주는거 없느냐 등 골치아픕니다.
가급적이면 정말 공적인 자리(조교 등을 할 경우)가 아닌 이상 자기 공부하세요.
4. 대학원 진학시에는 기존 대학 간판은 블라인드 처리하고 선발하므로 큰 영향 없어요.
오로지 스펙(성적, 어학점수 등) 및 관련 연구계획서, 면접 등을 통해서 선발하므로 내실을 다지는게 더 중요합니다.
5~6. 통번역대학원과 일반어학연구대학원은 커리큘럼 자체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통번역은 좀더 기술적인 분야라고 보셔야 합니다. 각각 대학원의 커리큘럼을 확인하시고 그에 맞춰서 본인이 원하는 분야로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7. 5~6과 동일하지만 통번역대학원을 가실 것이라면 준비생 카페 등에 가입해서 준비생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합격해서 대학원 다니고 있는 선배들은 어떻게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는 지 등의 정보를 수합하세요.
여기 네이버지식인데 통번역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사람들이 몇이나 될 것이며, 질문자 한사람을 위해 방대한 정보를 올려줄리도 만무합니다.
통번역대학원 준비생 카페에 가입해서 많은 정보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통번역대학원쪽에서 활동하시는 분들 중 순수 국내파는 생각보다 많지 않아요. 대부분 박사과정은 해당어문계열 국가로 유학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적인 계획을 잘 세워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