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1 과학(전기) 관련 한국사 필독서좀 알려주세요 제가 전기과 대학을 가고싶은데 한국사 관련 책으로 독후감을 써야되서 추천해주세요
제가 전기과 대학을 가고싶은데 한국사 관련 책으로 독후감을 써야되서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입시컨설턴트 최영원입니다.
전기전자공학과 연결될 수 있는 한국사 관련 도서로 아래 책을 추천드립니다.
『조선의 과학기술』
과학기술을 시간 측정, 천문도, 역법, 지도, 건축, 의학 등 여러 분야로 나눠 쉽고 친근하게 풀어낸 대중 교양서입니다.
image 조선의 과학기술 - 예스24
이 책은 찬란하게 꽃피었던 우리 조상들의 과학기술중에 조선시대의 과학기술을 분야별로 짚어보고 있는 책이다. 조선시대의 과학기술을 `건축`, `음식`, `의학과 수의학`, `도량형`, `지도`, `시간측정`, `천문도와 역법`의 일곱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폈다....
www.yes24.com
『조선의 과학기술』을 읽고 전기전자공학 계열과 연계해 독후감을 작성할 때, 단순 감상보다는 아래와 같이 기술 원리의 유사성, 역사 속 발명의 의미, 현대 공학과의 연결 고리, 미래 응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을 권합니다^^
1. 도입부 – 독서 동기 + 전공 연계 이유
왜 이 책을 읽었는지 → 단순한 역사서가 아니라 과학기술사이기 때문에, 전공 관심과 관련
전기전자공학 진로를 준비하며, 역사 속 기술 원리의 구조와 사고 방식에서 배움을 얻고자 함.
2. 본론 – 책 내용 요약 + 공학적 분석
자격루, 앙부일구, 혼천의 등 측정기기와 제어 메커니즘 → 현대 제어공학과의 유사점 서술
‘시간과 데이터’를 다루는 기기의 탄생 → 센서, 피드백 시스템, 신호처리의 원형적 의미
정밀성 확보를 위한 설계 → 공학적 설계 사고와 연계
3. 확장 – 비교와 반성
왜 조선의 기술이 근대 전기로 이어지지 못했는지 → 기술-사회-정책의 연계 미비
현대 공학자가 과거로부터 배워야 할 교훈 → 기술의 사회적 실용화 중요성 강조
4. 결론 – 전공 연계된 진로 사고
이 책이 전기전자공학 준비에 어떤 사고력 도움을 주었는지
공학자로서 어떤 역량(관찰력, 문제 해결, 융합 사고 등)을 길러야 할지
image 입시컨설턴트 최영원님의 오픈프로필
2015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연세대학교에 입학했습니다. 2025년 현재 강남 대치동에서 입시 컨설턴트로 일하며 변화하는 입시 제도에 맞춰 11년째 진로진학 지도를 하고 있습니다.
open.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