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대학교 지원현황보니까 만학도 별루없는것같음 

만학도 별루없는것같음 
최근 몇 년간 만학도 지원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많은 대학들이 생존 전략으로 만학도 전형을 확대하고 있고, 일부 전문대학의 경우 신입생의 절반 이상이 만학도인 사례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눈으로 봤을 때 만학도가 적어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보이지 않는 학생'
대부분의 만학도는 낮 시간대에 수업이 진행되는 주간 대학보다는, 야간 강좌나 온라인 수업 등 직장 생활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는 사이버대학이나 학점은행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캠퍼스에서 재학생들과 함께 어울리는 모습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2. 만학도 전형의 비중과 인식
4년제 일반대학보다는 전문대학에서 만학도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만학도 전형은 일반 수시, 정시 전형과 별도로 모집되므로 전체적인 지원 현황 통계에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3. '만학도'의 기준 변화
과거 만학도는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뒤늦게 학업을 시작한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은 이미 대학을 졸업했거나 직장을 다니면서 새로운 전공이나 기술을 배우기 위해 다시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들은 '늦깎이'가 아니라 새로운 배움을 통해 삶을 채우려는 '평생 학습자'에 가까우며, 이러한 변화된 모습 때문에 주변에서 만학도를 잘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달리, 실제로 대학에 지원하는 만학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질문하기